항공정비사

안전결선 (Safety wiring)

노력의탑 2025. 4. 7. 16:10
728x90
반응형

오늘은 안전결선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안전결선은 비행 중 발생하는 진동으로 인해 볼트나 너트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볼트와 너트를 와이어로 이어서 풀리지 않도록 하는 작업입니다.
안전결선은 와이어와 와이어 트위스트라는 공구를 사용합니다.

 
안전결선은 단선식과 복선식으로 나뉩니다.
 
단선식은 좁은 공간에서 작업을 하거나 접근하여 작업하기 어려운 공간 사용하며 복선식에 비해 고정력이 약하고 작업이 간단합니다. 단선식은 최대 24인치를 초과할 수 없습니다. 와이어를 한쪽이 풀리면 반대편 연결되는 부분은 잠기도록 하는 방향으로 넣으면 되는 간단한 방식입니다.

 
 
복선식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안전결선방법이며 4~6인치의 공간에 사용하고 단선식에 비해 단단하며 와이어를 꼬아서 작업하는 방식입니다.
복선직 작업순서는 다음 방법과 같습니다.

작업 시 팁을 드리자면 한쪽이 꼬이면 한쪽은 잠기는 방향으로 와이어를 결선해야함으로 미리 머리로 생각하고 구멍에 넣어야합니다. 또 Step7~8을 할 때 밑에 트위스터를 당겨 꼬면 안됩니다. 반대방향으로 회전함으로 와이어를 물리고 손으로 회전시켜야합니다. 그리고 Step4~8은 인치당 6~8꼬임이고   Step9~10의 피그테일을 만들 때는 인치 당 4~6꼬임입니다.

 
 
안전결선시 주의사항

1)한번 사용한 안전결선용 와이어는 재사용해서는 안됩니다. 
2)와이어는 너트나 볼트를 조이는 방향으로 작용되도록 결선되어야 합니다.
3)꼬임은 단단하고 균일해야 하며 너트사이의 와이어를 과도하게 조이지 않도록 해야합니다.
4)와이어의 재질은 체결되는 너트와 볼트와 같아야합니다 (부식방지)
 
안전결선은 쉬워 보이지만 시험장에서 ㄱ자 ㄴ자 ㅁ자 다양하게 나오기 때문에 와이어의 방향이 항상 헷갈립니다. 미리 미리 다양한 모양을 연습하여 실전에서 잘 볼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너트의 토크체결부터 시작하게 때문에 구멍의 방향에 맞춰 세팅하는 것도 연습하면 좋습니다.
 

다음에는 다른 항공정비 내용으로 찾아 뵙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

'항공정비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공기 정비방식  (12) 2025.05.10
IOSA(항공사 안전평가 제도)  (3) 2025.04.13
항공기 제/방빙 (De/An-ti Icing)  (9) 2025.03.08
HF(단파통신)과 VHF(초단파통신)  (11) 2025.03.03
PSS(Passenger service unit)  (4) 2025.0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