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전체 글 49

항공기 정비방식

항공기 정비 방식은 크게 운항정비방식과 공장정비방식으로 나뉩니다. 운항정비는 다시 PR / PO / A,B check / WEEKLY check 방식으로 나뉩니다.PR점검은 첫 비행전 항공기의 상태를 점검하는 것으로 비행에 필요한 연료,오일 등을 확인하고 WAI를 하며 항공기 주위를 걸어다니며 점검하는 행위를 한다.PO점검은 항공기가 당일 모든 스케쥴을 마치고 왔을 때 하는 점검으로 WAI 오일,연료 점검 ,기내청소 등의 업무를 합니다.PR과 PO 중간에 TR이라는 점검도 있습니다. TR은 항공기가 모기지에서 출발하여 도착후 다음 비행을 하기 전에 하는 점검으로 PO와 비슷한 점검을 합니다. 예를들어 김포 - 제주 -김포 의 하루 스케쥴이 있다면 김포에서 첫 비행을 하기 전에 PR점검을 하고 제주에 ..

항공정비사 2025.05.10

산업안전기사) 비계작업

오늘은 비계작업의 기본 개념, 위험요인, 안전 수칙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또한 실제 작업형 문제 예시를 통해 이해를 높이겠습니다비계의 개념비계는 현장에서는 아시바 라고 불리기도 하며 건축물 외부 작업을 위해 설치되는 중요한 구조물입니다.작업자에게 안전한 작업 환경을 제공하는 지지대 역할을 수행합니다.주로 건물 외벽 도장, 창문 설치, 외부 수리 등에 활용됩니다.이러한 작업에서 비계의 안전성은 절대적으로 중요합니다. 비계작업의 주요 위험요인을 살펴보겠습니다. 첫째, 불안정한 비계 설치로 인한 전도 위험이 있습니다.둘째, 비계 위 작업 중 근로자의 추락 위험이 존재합니다.셋째, 비계 주변 근로자 간 충돌 사고 가능성이 있습니다.넷째, 떨어지는 자재로 인한 하부 근로자 피해 위험이 있습니다.이러한 위험요인을..

자격증 2025.04.19

산업안전기사) 지게차 작업

산업안전기사에서 지게차는 필기와 실기에 많이나오는 유형입니다.지게차란? 앞쪽의 포크로 짐을 싣어 나르는 차입니다. 지게차의 구조는 다음 그림과 같습니다.각각 구조의 역할을 알아보면마스트: 포크가 위아래로 움직이기 위해 있는 것으로 마스트의 높이가 포크의 최대 높이입니다.틸트실린더:유압 시스템을 통해 포크의 기울임을 도와주는 장치입니다.포크:적재물을 받쳐 드는 장치입니다.헤드가드:작업 중에 위쪽으로 떨어지는 물건에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운전자 머리위에 설치된 지붕입니다.카운터웨이트: 지게차가 앞쪽으로 쏠리지 않기 위해 무게 균형을 맞춰주는 장치입니다.위에 있는 구조의 명칭들이 생소한 것들이니 몇번읽다보면 익숙해지실 겁니다. 다음은 지게차 취급시 안전대책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지게차 안전기준1) 지게..

자격증 2025.04.17

공군) 기계,통신전자전기 계열 지원자격 강화

2026년 1월입영자부터 기계,통신전자전기 계열 지원자격 강화됩니다. 지원자격: (기존) 관련 자격,면허,전공상관없이 지원 가능 > (변경) 관련 자격,면허 보유자 또는 전공자 기존에 기계통신전자전기 계열을 준비하시던 분들은 당황스러울 수 있지만 큰 변동사항은 아닙니다.기계나 통신전자전기 계열 지원자 분들은 공고,마고,공대 분들이 대부분일텐데 공고,마고 졸업자 분들은 대부분 기능사나 산업기사가 있기 때문에 상관없을 것이고 공대분들은 전공에 해당되는지만 확인하면 됩니다. 하지만 공학계열이 아니거나 고졸이면서 자격증이 없으신 분들은 지원이 힘들것으로 예상됩니다. *기통,작통,항전,제작과 같은 꿀특기는 기존에도 자격증이 필수 이기때문에 지원자격의 강화에도 커트라인에 큰 변화는 없을 것같습니다.

공군 2025.04.17

산업안전기사) 항타기,항발기 작업

산업안전기사 작업형을 보면 항타기와 항발기에 대한 내용이 자주 나옵니다.항타기는 말뚝을 땅에 박는 기계이고 항발기는 땅에 박힌 기둥을 뽑는 기계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댐, 교량,부두 등 기둥을 통해 지지가 필요한 구조물의 건설에 사용되는 장비입니다. 크고 무거운 작업을 하는 장비인 만큼 다양한 위험요인이 있습니다.주요 위험요인으로는 연약지반에서 작업중 지반 침하로 인해 장비가 넘어진다거나 권상용 로프가 파단되거나 항타 작업반경 내에 근로자가 출입하여 부딫치는 안전사고등이 발생 할수 있습니다.이어서 시험에 나오는 항타기 항발기에 대한 문제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1.항타기 항발기 작업시 안전 작업 수칙 1)작업 구간내 울타리 설치 및 감시인 배치2)절연용 방호구 설치3)이격거리 확보4)충전전로와 접촉할..

자격증 2025.04.13

IOSA(항공사 안전평가 제도)

IOSA란? IATA 운영 안전 감사(IOSA) 프로그램은 항공사의 운영 관리 및 제어 시스템을 평가하기 위해 고안된 국제적으로 인정되고 인정되는 평가 시스템입니다. IOSA는 국제적으로 인정된 품질 감사 원칙을 사용하며 표준화되고 일관된 방식으로 감사를 수행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IOSA의 평가기준 IATA에 인증받은 전문평가기관에 의해 일주일 동안 8개 점검 분야(조직 관리, 운항, 정비, 객실, 운송 및 지상 조업, 화물, 보안), 현재 총 914개 항목에 대해 총체적인 안전 평가를 받아야 합니다. 이 중에 834개의 기준 전 항목을 충족해야 IOSA 항공사로 등록이 가능하며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면 개선 조치를 하고 재확인 후 IOSA 인증을 새로 받아야합니다. 감사 대상 영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항공정비사 2025.04.13

안전결선 (Safety wiring)

오늘은 안전결선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안전결선은 비행 중 발생하는 진동으로 인해 볼트나 너트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볼트와 너트를 와이어로 이어서 풀리지 않도록 하는 작업입니다.안전결선은 와이어와 와이어 트위스트라는 공구를 사용합니다. 안전결선은 단선식과 복선식으로 나뉩니다. 단선식은 좁은 공간에서 작업을 하거나 접근하여 작업하기 어려운 공간 사용하며 복선식에 비해 고정력이 약하고 작업이 간단합니다. 단선식은 최대 24인치를 초과할 수 없습니다. 와이어를 한쪽이 풀리면 반대편 연결되는 부분은 잠기도록 하는 방향으로 넣으면 되는 간단한 방식입니다. 복선식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안전결선방법이며 4~6인치의 공간에 사용하고 단선식에 비해 단단하며 와이어를 꼬아서 작업하는 방식입니다.복선직 작업순서는 ..

항공정비사 2025.04.07

항공기 제/방빙 (De/An-ti Icing)

항공기에 얼음이 생기면 항공기의 양력감소나 항력이 발생하여 안전성에 영향을 미치고 센서와 조종이 불안정해져 위험한 상황이 발생하기도 합니다.그래서 항공기는 제/방빙 작업이 필수 적입니다. 먼저 제빙이란? 항공기에 쌓인 눈이나 얼음을 제거하는 작업을 말합니다.방빙이란? 얼음이 생기는 것을 미리 방지하는 작업입니다. 항공기 제빙 제빙은 화학적제빙과 기계적 제빙으로 나눌수 있습니다. 다음 영상을 통해 실제 작업모습을 보실 수 있습니다. 화학적 제빙은 제빙 액을 뿌리는 방식으로 type1을 사용합니다. 글리콜이 80%함유 되어 있고 오렌지색을 띱니다. 다른 t종류인 type4가 있습니다. type4는 방빙에 사용하는 제빙액입니다. 초록색이며 글리콜이 50%함유되어 있습니다. 제빙을 진행할 때 type1만 사용하..

항공정비사 2025.03.08

2025년도 자격증 변경사항

2025년도 자격증 변경사항입니다.  경험상 과목개편과 같은 사항은 기존 기출문제를 가지고 공부하여도 큰 문제가 없었습니다. 하지만 시험형태가 바뀌거나 새로운 내용으로 바뀌는 경우에는 기출문제위주 공부법에서 이론위주 공부법으로 변경하여 공부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주요 변경사항설비보전/기계정비/공유압 기능사가 설비보전 기능사로 통합되었습니다.직업상담사 1급의 실기시험 형태가 변경되었습니다.인쇄설계기사의 실기시험 형태가 변경되었습니다.

자격증 2025.03.08

HF(단파통신)과 VHF(초단파통신)

HF HF는 전리층 반사 특성을 이용하여 장거리 통신에 사용도딥니다. VHF의 2차적인 통신수단으로 사용하며 항공기와 지상국,항공기와 항공기간의 통신을 위해 사용됩니다. 잡음과 페이딩 현상이 많이 발생하여 통화음질이 낮은 것이 특징입니다. 주파수의 범위는 2~30Mhz 이며 사용고도 제한은 35000FT 송신출력은 100~400W입니다. 왼쪽그림과 같이 HF통신은 HF송수신기,안테나,안테나 커플러,무선통신 페널로 구성되어 있습니다.HF송수신기에서는 음성신호를 받으며 음성신호를 코딩하여 반송파에 실어 변조를 시키는 기능을 합니다. HF안테나는 수직안정판 앞전에 장착이 되어 있으며 단파 주파수 범위 내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합니다. 안테나 커플러는 HF안테나가 3~30Mhz의 전파를 받으려면 길이나 너..

항공정비사 2025.03.03
728x90
반응형
LIST